교육전공서적 66

교육사회학(8).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5-

영국의 교육사회학자들이 교육내용에 특별히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영국은 강고한 계급구조를 유지해 온 나라로서, 전통적으로 정예주의교육을 지향해 왔으며, 상류문화가 교육을 지배해 왔다. 이에 비하면 미국의 교육은 일찍부터 대중교육제도를 발전시켰으며, 교육내용도 특별히 상류문화를 고집하지 않았다. 영국의 상류문화 지향적 교육내용은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불어닥친 대중교육의 물결과 불가피하게 부딪히게 된 것이다. 상류문화 지향의 교육내용을 계층의 상하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가르치는 것을 정당화하든지, 아니면 교육과정을 새로 만드는 일이 불가피해졌다. 어찌 되었든 교육내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버거와 루크만(Berger & Luckman)의 지식사회학에 관한 설득력 있는 저서(..

교육사회학(7).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4-

3)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의 등장 교육사회학에 갈등이론이 등장하던 1970년대에 또 다른 변화가 일어났는데 이른바 '신'교육사회학(new sociology of education)의 출현이다. 전자가 미국이 주 무대였다면 후자는 영국이 무대이다. 신교육사회학자들은 종래의 교육사회학이 연구주제를 잘못 선택하였다고 비판하면서 새로운 연구주제를 들고 나왔다. 연구에 임하는 자세도 또한 새로운 것을 주장하였다. 종래의 교육사회학이 주로 사회구조가 교육기회 분배와 계층구조 유지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밝히는 것에 몰두해온 것을 비판하면서, 학교 내부의 교육과정과 수업 진행과정 및 교사·학생관계를 탐구하여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전자를 거시적(macro)접근, 후자를 미시적(micro) 접근이라고 부를 ..

교육사회학(6).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3-

이론적 동향 교육사회학 연구의 동향은 1970년대에 들어와서 또 한 차례 변화를 겪는다. 이 새로운 동향도 역시 일반사회학의 동향을 반영한 것이다. 당시까지의 교육사회학 연구를 '기능주의(functionalism)'라고 몰아붙이는 새로운 주장이 나타났다. 이른바 갈등이론의 등장이다. 교육사회학의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에 관하여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간단히 언급하는 ㄱ정도로 그치겠다. 갈등이론은 종래의 교육사회학 연구들이 사회의 한 하위체제로서의 교육, 특히 학교의 순기능에만 지나치게 치중해 왔으며 역기능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데에 대한 하나의 반성에서 출현하였다. 교육, 좁게는 학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태도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체로 낙관적이었다. 교육은 자라..

교육사회학(5).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2-

2) 학교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확대 앞에서 이론지향적 교육사회학, 즉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육현상을 사회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이론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유럽과 미국에서 1950년대부터 대두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첫 출발은 훨씬 오래 전에 이루어졌다. 이미 19세기 말에 프랑스의 한 위대한 교육사회학자가 씨를 뿌려 놓았다. 다만 뿌려놓은 씨앗이 제대로 피어나지 못하고 명맥만 유지해오다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꽃을 피우게 된 것이다. 초기의 교육사회학 이론지향적 교육사회학의 기초를 놓은 사람은 뒤르켐(Emile Durkheim)이다. 사회학의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한 몇 사람 가운데 하나인 뒤르켐은 대학교수 생활을 교육학 담당교수로 시작하였다. 1887년에 대학교수로 처음 부임한 보르도(B..

교육사회학(4).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1-

1) 초창기 '교육적 사회학' 사회학의 지식을 교육실천에 응용하려는 노력으로서의 '교육사회학'이 처음으로 등장한 것은 1907년에 스잘로(Henry Suzzalo)가 미국의 컬럼비아 대학교에 'Educational Sociology'강좌를 개설하면서부터로 알려져 있다. 그 후 10년쯤 지난 1916년에는 이 대학에 교육사회학과가 창설된다. 1920년대 말에는 200개에 가까운 미국 대학들이 '교육사회학'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의 강좌를 가르친다. 그리고 이미 1923년에는 미국교육사회학회(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al Sociology)가 창립되고(Zook, 1926), 1927년에 전문학술지로 「The Journal of Educational Soci..

교육사회학(3). 교육사회학의 발달_한국 교육사회학의 전개-3-

그 결과로 과거처럼 외국의 이론을 해설하고 소개하는 것에서 벗어나 한국의 교육문제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연구경향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 한국의 교육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대교육이 싹트기 시작한 조선왕조말의 개화기, 서양 교육 제도가 도입되고 민족의 교육전통이 말살되는 일제 강점기 , 해방 직후부터 정부 수립까지의 미군정 시기 등에 대한 연구가 긴요해짐에 따라, 이 시기에 대한 연구관심이 한층 고조되었다. 사회사적 접근을 강화한 교육사회학 연구자들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연구는 한국의 교육학 연구 활동을 한결 풍부하게 만들었다. 1980년대 교육사회학 연구의 활성화는 교육학 전반에 사회학적 접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한국 사회의 지적 풍토가 사회과학에 대한 관심이 전반적으로 높았던 것과도 ..

교육사회학(2). 교육사회학의 발달_한국 교육사회학의 전개-2-

2) '학교와 지역사회' 대학 강좌로서의 '교육사회학'은 1970년대에 큰 변화를 겪는다. 당시 박정희 정부가 추진하고 있던 '새마을운동'에 보조를 맞추기 위하여 1972년에 문교부령을 개정하여 교윈양성을 위한 교직과정에서 '교육사회학'을 빼고 필수과목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라는 강좌를 신설한 것이다. 그 이유는 새마을운동을 추진함에 있어서 학교가 지역사회개발 정책에 공헌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사가 이에 관한 지식과 열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교직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모든 대학이 '학교와 지역사회'를 강의하기 시작한다. '학교와 지역사회'가 기존의 '교육사회학'을 대체한 셈이었기 때문에 전국의 대학에 개설되었던 '교육사회학' 강좌는 대부분 자취를 감추었다. 출판계에도 영향을 미쳐 ..

교육사회학(1). 교육사회학의 발달_한국 교육사회학의 전개-1-

교육은 언제나 사회성을 띠고 있고, 또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회과학적 탐구대상이 되어왔다. 교육데 대한 사회학적 탐구, 즉 교육사회학 연구에는 두 가지 조류가 오랫동안 병존해 왔다. 하나는 사회학의 지식을 교육실천에 응용하려는 실천지향적 연구이고, 다른 하나는 교육현상에 대한 사회과학적 탐구를 통하여 사회과학의 지식과 이론을 넓혀 가려는 이론지향적 연구이다. 전자는 교육실천에 응용하기 위한 사회학적 지식체계로서, 대체로 교수방법지향적 교육학자들이 발전시켜 왔으며 흔히 영어로 '교육적 사회학(Educational Sociology)'으로 불린다. 후자는 교육현상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사회학의 지식체계로, 주로 사회학자들이 중심 역할을 해 왔으며 '교육의 사회학(Sociology of Ed..

특수교육(29). 지체장애아동 교육_⑥ 지체장애아동의 교육-3-

(3) 지역사회 참여를 위한 교수-학습 방법 지체장애아동의 교육과정에 포함된 많은 학습과제를 지역사회에 직접 참여하여 교육하는 것은 실질적이고 기능적인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Howard와 Straithaim(1976)이 개발한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①교통수단 이용, ②공중전화 사용, ③식당에서 음식주문, ④시장보기, ⑤의복 구입, ⑥공공기관 이용, ⑦행인에게 길 묻기 등과 같은 기능적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생활중심의 기술과 경험을 포함하고 있다. 각 분야에 속하는 기술을 평가하고 지도하기 위해서 각 기술의 과제분석을 통해 단계별 부분과제로 나눈다. 과제분석 결과를 가지고 학생이 수행할 수 있는 부분과 어려움을 갖고 있는 과제를 구분하고, 각 단계에 필..

특수교육(27). 지체장애아동 교육_④ 지체장애아동의 교육-1-

5. 지체장애아동의 교육 같은 장애를 가지고 있는 지체장애아동이라 하더라도 아동 간에 차이가 대단히 심하기 때문에 교육목표·교육내용·교수방법·교육자료 및 기기는 아동 개개인의 지능·신체·감각·정서적 특성을 사정하고, 그것에 따라 달리 정하여야 한다. 또한, 지체장애나 건강상에 문제가 있는 각 아동들은 개인적인 요구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교사는 아동 교육에 있어서 장애의 다양한 변화를 인식해야 한다. 즉, 교사는 건강상 주의를 요하는 아동을 돕는 법, 자주 결석하는 아동을 다루는 법, 발작이 있는 아동을 돕는 법, 편의를 계획하는 법, 마비와 관련되는 특별한 문제를 다루는 법, 학급 활동에 적응하는 법, 교수 기술을 적합하게 하는 법, 사회적 통합을 증진시키는 법 등을 배워야 한다. 1)진단과 평가 지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