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개화기의 교육 조선왕조가 쇠락한 19세기 말엽 근대 서양 문물의 유입과 서구 열강의 개방 압력에 직면하게 된 이른바 개화기에 들어서면서, 교육에도 근대화의 바람이 일기 시작한다. 교육 근대화의 필요를 가장 절실하게 느낀 것은 개항지의 주민들이었다. 교육 근대화의 필요를 가장 절실하게 느낀 것은 개항지의 주민들이었다. 개항으로 일본을 비롯한 외국의 상인들이 밀려옴에 따라 그들은 근대적 경영방식, 국제무역, 외국어, 새로운 학문, 바깥세상에 관한 지식의 필요성을 누구보다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다. 그러한 지식의 결핍은 현실적으로 외국 상인들과의 경쟁에서 패배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이 잘 드러난 곳이 원산의 개항지였으며, 주민들의 교육 근대화의 요구는 원산학사의 설립으로 나타났다(김태근, 2019;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