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전공서적 66

교육사회학(38). 한국교육제도의 변천_근대적 학교제도의 도입-2-

2) 개화기의 교육 조선왕조가 쇠락한 19세기 말엽 근대 서양 문물의 유입과 서구 열강의 개방 압력에 직면하게 된 이른바 개화기에 들어서면서, 교육에도 근대화의 바람이 일기 시작한다. 교육 근대화의 필요를 가장 절실하게 느낀 것은 개항지의 주민들이었다. 교육 근대화의 필요를 가장 절실하게 느낀 것은 개항지의 주민들이었다. 개항으로 일본을 비롯한 외국의 상인들이 밀려옴에 따라 그들은 근대적 경영방식, 국제무역, 외국어, 새로운 학문, 바깥세상에 관한 지식의 필요성을 누구보다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다. 그러한 지식의 결핍은 현실적으로 외국 상인들과의 경쟁에서 패배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이 잘 드러난 곳이 원산의 개항지였으며, 주민들의 교육 근대화의 요구는 원산학사의 설립으로 나타났다(김태근, 2019; 신..

교육사회학(37). 한국교육제도의 변천_근대적 학교제도의 도입-1-

1) 개화기 이전의 교육 우리나라는 서구문명이 본격적으로 유입된 19세기 말에 근대적 교육기관을 설립하기 전까지 참으로 긴 세월동안 유학 중심의 교육제도를 지켜왔다. 조선시대는 물론이고 불교가 일상생활을 지배하던 고려시대에도 교육은 유학 중심이었다. 전통사회의 교육기관들은 관리의 양성과 선발을 주목적으로 지배계급의 남자들을 대상으로 사서삼경을 비롯한 유학과 중국의 고전을 가르쳤다. 시대에 따라 교육기관의 명칭이 바뀌고 교육수준도 점차 향상되었으나 교육내용의 성격은 유지되었다. 초급교육은 물론 한문읽기에서부터 시작하였다. 한자는 읽고 쓰기를 배우기가 어려운 데다 농민 등 하층민과 여성에게는 교육받을 기회도 주어지지 않았고 스스로 글을 배우는 것도 억제되었다. 교육기회는 소수의 지배계급 남자들에게만 독점적으..

교육사회학(36).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평생교육의 등장-3-

종교적, 경제적 정치적 세속화가 일어나기 전, 다시 말해서 백성들에게 주권과 자유가 허용되지 않았을 때에는 그들은 '어린' 사람들이라고 표현되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어 반포하면서 말했던 "어린 백성들이..."의 의 그 "어린"이다. 어리석고 판단력이 모자라는 그런 백성들이다. 그러므로 그들은 모두 종교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교와와 시혜와 통치의 대상이지 결고 스스로 신앙생활과 경제활동과 정치적 의사결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자란' 사람들이 아니었다. 근대 역사는 이 '어린' 상태의 사람들이 스스로 '어리지 않은, 자란 사람들'임을 자각하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투쟁해 온 과정이라 할 것이다. 그러면 교육은 왜 여전히 어린 백성의 시대에 머물러 있는가? 그것은 교육..

교육사회학(35).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평생교육의 등장-2-

교육의 주도자, 학습의 주도자가 누구인가라는 문제는 누가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며 교육상황을 누가 통제해야 하느냐는 질문과 잇닿아있다. 단순하게 말한다면 국가가 필요하다고 여기는 지식과 가치체계를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평생에 걸쳐 가르치는 것이 당연하다고 믿을 수도 있고, 이와 대조적으로 국가보다는 개인이 원하고 필요한 내용을 언제나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을 수도 있다. 또한, 각 지역공동체나 기능공동체들이 가르치고 배울 것을 스스로 결정하고 운영하는 학습사회의 건설이 평생교육사상의 본질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김신일, 2020: 281-298). 결론부터 말하면, 평생교육의 사상적 방향은 교육에 대한 국가통제를 줄이고 지역공동체와 사회 및 경제단체들의 자율적 교육을 확대하여 민주적 공동체가 ..

교육사회학(34).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평생교육의 등장-1-

1) 평생교육의 개념 기존 교육제도의 변혁을 불가피하게 만들고 있는 또 하나의 도전적 경향은 '평생교육'의 등장과 활성화이다. 평생교육이라는 용어는 과거에도 가끔 사용되었지만 그것이 국제사회의 대표적 용어로 떠오른 계기는 1970년대 유네스코 교육정책문서에 언급되면서부터이다. 1970년대에 유네스코가 평생교육을 교육제도의 새로운 사상적 기초로 제시한 데는 이유가 있다. 유네스코는 1960년대에 비형식교육(nonformal education)을 강조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출발한 유네스코는 제국주의 식민지배로부터 독립한 가난한 나라 국민들의 교육문제 해결책을 처음에는 문해교육에서 찾았고, 이어서 비취학 청소년과 성인을 위한 학교 밖 교육, 즉 비형식교육의 강화에 주력하였다. 그 다음 단계가 평..

교육사회학(33).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학교 본위 교육제도의 동요-2-

과거에는 정규학교로서의 법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던 우리나라의 대한학교들은 법 개정으로 1998년부터는 일정 요건을 갖추면 정규학교로서 법적인 지위를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제60조는 대안학교를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고자 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 인성 위주의 교육, 또는 개인의 소질 적성개발 위주의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공교육제도의 바깥에 있던 대안학교를 교육법의 테두리 안으로 끌어들인 것이며, 국가가 직접 통제하지 않던 교육을 인정하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김성기, 2017; 활준성, 이혜영, 2010). 그러나 대안학교가 정규학교로 법적인 인정을 받았든 못 받았든, 그것은 기본적으로 학교교육의 한계에 직..

교육사회학(32).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학교 본위 교육제도의 동요-1-

1) 학교제도 내부의 혁신 오늘날 교육제도는 여전히 학교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로부터 벗어나려는 움직임도 많은 나라에서 나타나고 있다. 기존의 학교로는 정보화시대 이후 새롭게 등장하는 사회의 교육적 요구를 제대로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세계교육의 실태와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1968년 쿰스(Philip Coombs)의 보고서 '세계교육의 위기(The World Educational Crisis)'와 역시 세계교육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파헤친 1972년 포르(Edgar Faure)의 보고서 '존재하기 위한 학습(Learning To Be)'은 교육기관으로서의 학교가 막다른 골목에 도달하였으므로 학교 일변도의 교육제도를 벗어나는 길만이 교육을 되살리는 방법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

교육사회학(31).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국민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3-

2) 국민교육제도의 성격 : 보편성과 통일성 국민교육을 추구한 국가관리 교육제도의 기본성격은 보편성과 통일성이었다. 개별 국가의 교육은 보편적인 이념과 목적을 추구하는 동시에, 운영방식에 있어서 통일성을 지향하였다. 반톡(Bantock, 1973: 57-58)은 19세기 대중적 학교교육체제의 사상적 배경으로 18세기와 19세기에 강하게 대두한 통일성의 사상을 지적한 바 있다. 그는 19세기 보편주의 국민교육의 사상적 기반에 헤겔(Hegel)철학의 보편성과 통일성이 큰 영향을 주었으며, 생시몽(Saint Simon)의 "가르침의 통일성(uniformity of teaching)" 사상이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설명한다. 즉, 당시에는 사회의 모든 구성원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강력한 사회적 동질성이 ..

교육사회학(30).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국민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2-

샬로테와 콩도르세의 교육론은 프랑스 혁명 진행 과정에서 주도권 다툼을 계쏙했다. 혁명 초기에는 진보적인 콩도르세의 '공교육론'이 강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혁명의 진행이 여러 반대세력의 저항으로 머뭇거리자 강경파가 등장하여 무력과 공포정치로 상황을 돌파하면서 강력한 국가권력을 선호하는 '국민교육론'이 지지를 받게 된다. 이러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콩도르세는 반혁명자로 체포되어 자결하고 그의 교육론은 폐기된다. 그 뒤에 곧 반전이 일어나 새로 집권한 정권에 의해 콩도르세는 복권되고 혁명과 자유주의 공화정의 옹호자로 추앙받게 된다(Soboul, 1995/2018: 716-720; 장세룡, 2019: 153-158). 절대왕정을 무너뜨린 혁명의 소용돌이가 가라앉자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새로운 체제의..

교육사회학(29). 교육제도의 형성과 확대_국민교육제도의 등장과 그 특징-1-

1) 근대국가와 국민교육제도 오늘날의 교육제도는 19세기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발달한 국민교육제도의 결과물이다. 1789년의 프랑스 혁명으로 절대군주제도가 무너지고 근대국가가 형성되면서 등장한 세속 정부는 교회가 가지고 있던 교육의 지배권을 장악하게 된다.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산업혁명은 이전의 농경사회와는 다른 노동력을 필요로 했는데 이 요구와 세속 정부의 이해관계까 결합하면서 학교 중심의 국민교육제도가 성립하게 된다. 근대국가 이전에는 대체로 종교가 교육을 지배하였다. 서양에서는 기독교, 유태교, 회교, 동양에서는 유교, 힌두교, 불교 등 종교들이 각기 세력권 내에서 이루어진 교육을 지배하였다. 사람들의 학습 생활은 각 종교의 지배를 받았고, 그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신은 모든 가르침의 원천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