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적 동향
교육사회학 연구의 동향은 1970년대에 들어와서 또 한 차례 변화를 겪는다. 이 새로운 동향도 역시 일반사회학의 동향을 반영한 것이다. 당시까지의 교육사회학 연구를 '기능주의(functionalism)'라고 몰아붙이는 새로운 주장이 나타났다. 이른바 갈등이론의 등장이다. 교육사회학의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에 관하여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간단히 언급하는 ㄱ정도로 그치겠다. 갈등이론은 종래의 교육사회학 연구들이 사회의 한 하위체제로서의 교육, 특히 학교의 순기능에만 지나치게 치중해 왔으며 역기능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데에 대한 하나의 반성에서 출현하였다. 교육, 좁게는 학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태도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체로 낙관적이었다. 교육은 자라나는 세대에 문화를 전수시켜 주는 사회화의 기능과, 능력에 따라 가르쳐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사회선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회를 안정적으로 발전시킨다고 믿었다. 이 시기의 교육사회학 이론은 이러한 낙관적 믿음을 뒷받침해 주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 이러한 이론이 현실을 바르게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이 일어났다. 교육은 문화전수보다는 편협한 주장과 왜곡된 지식을 주입시키고, 능력을 근거로 한 선발보다는 사회경제적 배경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는 학력의 불평등 분배를 용인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이런 현상은 사회를 집단 간의 경쟁과 갈등관계로 보는 갈등이론으로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는 입장이 부상하였다. 비판적 교육사회학이라고도 불리는 이 입장은 1970년대에 그 세력을 확장하였다. 비판적 교육사회학은 교육체제는 물론 사회체제도 문제로 삼았다. 교욱문제는 기능상이 아닌 구조상의 결함 내지 사회체제 자체의 모순에서 비롯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기능이론과 갈등이론 사이의 공방이 1980년대 후반 소강상태에 접어들면서 양대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두 이론은 학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쟁점을 부각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지만, 두 이론 모두 교육현상을 설명하는데에 한계가 있는 것도 드러났기 때문이다. 두 이론은 교육을 설명하는 데 서로 대립적으로 보이지만, 더 큰 시각에서 보면 두 이론은 모두 교육을 도구적 기능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두 이론은 교육이 그 자체로서는 '빈 그릇'과 다름없다고 보고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담기는 내용물에 따라 순기능도 하고 역기능도 한다고 본다. 그러나 교육에는 '사람들'이 있다. 학생이 있고 교사가 있고 학부모가 있다. 뿐만 아니라 행정가도 있고 지역사회 주민도 있다. 교육이 무엇이 되느냐 하는 것은 학교 또는 '교육계'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이 어떤 의지를 가지고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비록 교육이 한 사회의 역사적이고 사회구조인 조건 속에서 그 성격이 규정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교육을 이끌어가는 행위자들이 역사와 사회구조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들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기를 원하느냐에 따라 교육의 성격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교육에 관한 연구는 교육을 사회 구성원들이 주체적 의지를 가지고 역사적 사회적 조건과 교섭하면서 협력, 경쟁, 갈등, 타협을 해나가는 실체로 이해하고 설명하는 작업이다. 이것은 교육을 사회구조적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수동적 도구라고 보는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입장을 넘어서는 것이다. 이 관점은 사회학의 거목인 베버(Max Weber)의 사회이론에 기초를 두고 현상학과 해석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한 해석적 교육사회학이론이다. 이에 관하여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므로, 학교제도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사회 집단 간의 갈등과 타협, 희망과 좌절, 역사적 조건과 행위자들의 의지 등에 관한 연구와 이러한 문제를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하는 사회사적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 둔다(예컨대 김기석, 1999; 김성천·양정호, 2007; 김영화, 2006; 우용제 외, 1998; Archer, 1984).
'교육전공서적 > 교육사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사회학(7).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4- (0) | 2022.05.28 |
---|---|
교육사회학(5).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2- (0) | 2022.05.26 |
교육사회학(4).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1-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