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김신일 6

교육사회학(23). 경쟁하는 이론들_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2-

후설(Edmund Husserl)의 현상학을 사회과학 방법론으로 발전시킨 슈츠(Alfred Schutz)는 사회과학의 대상이 생활세계라고 선언하여 사회과학의 연구 대상을 인간의 구체적인 일상으로 끄집어 내렸다. 그는 사회과학의 목적은 인간이 자신이 살아가는 세계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최대한 분명히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행위자인 인간이 자신의 삶의 세계에서 그 삶에 부여하는 의미를 밝히는 것이 사회과학의 과업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 각자가 부여하는 의미가 중요하다는 것이다(차인석, 1980: 29-38). 일상생활에서 우리 자신의 행위와 타인의 행위가 가진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나 자신과 타인의 의미부여를 함께 고려함으로 이루어진..

교육사회학(20). 경쟁하는 이론들_갈등론적 교육이론-6-

4) 재생산 이론의 계승 학교교육의 재생산 기능은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인 알튀세르(Althusser, 1971)도 정리하는데, 그는 국가의 중요성을 강하게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그는 국가의 중요성을 강하게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그는 전통적 마르크스 이론에서 상부구조의 한 부분 정도로 취급했던 국가를 '국가 장치(state apparatus)' 라는 개념을 확대하였다. 알튀세르는 국가 장치를 '억압적 국가 장치(repressive state apparatus, RSA)'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ideological state apparatus, ISA)'로 나눈다. 억압적 국가 장치는 마르크스가 '국가'라고 할 때 주로 의미하던 것을 사법제도, 군대, 경찰, 정부 등으로 구성..

교육사회학(15). 경쟁하는 이론들_갈등론적 교육이론-1-

1) 갈등이론 갈등이론은 사회를 개인 간 및 집단 간의 끊임없는 경쟁과 갈등의 연속으로 본다. 즉, 세력다툼, 이해의 상충, 지배자의 압제와 피지배자의 저항, 그리고 사회의 끊임없는 불안정과 변동이 이 이론이 보는 사회의 속성이다. 갈등이론은 흔히 마르크스주의(Marxism)와 동일시되지만 마르크스주의가 갈등이론의 전부는 아니다. 마르크스주의 및 신마르크스주의(neo-Marxism)가 갈등이론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전적 또는 비(非)마르크스주의적 갈등이론도 독자적으로발전해 왔다. 고전적 갈등이론은 베버(Max Weber)의 사회이론으로부터 발전된 지위경쟁이론을 중심으로 많이 논의되고 있다. 아울러 라틴 아메리카에서 형성된 종속이론(dependency theory)도 갈등이론의 범주..

교육사회학(11). 경쟁하는 이론들_기능주의 교육이론-2-

기능주의이론은, 기존 체제의 존속, 즉 현상 유지를 옹호한다는 비판 외에도 여러 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와쉐이는 기능이론에 대한 비판을 다음 여덟 가지로 정리하였다(Warshay, 1975: 24-25). ① 존재하는 모든 사회조직을 기능적인 것으로 본다. ② 보수적이다. ③ 목적론에 빠져 있다. ④ 실증적이지 못하다. ⑤ 변화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⑥ 구조나 성격과 같은 기본변수를 소홀히 취급한다. ⑦ 권력투쟁, 갈등, 일탈행동 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이런 현상을 범법행위 또는 병리현상으로 간주해 버린다. ⑧ 사회적 이념, 목표, 규범 등의 보편성과 합의성을 과장한다. 기능이론은 사회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렵고, 사회 내의 개인 간 몇 집단 간의 대립과 갈등을 정면으로 다..

교육사회학(10). 경쟁하는 이론들_기능주의 교육이론-1-

1) 기능주의 기능주의(functionalism) 또는 기능이론은 콩뜨(Auguste Comte, 1798~1857)와 스펜서(Herbert Spencer, 1820~1903)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한 마디로 기능이론이라고 부르지만 그 속에는 조금씩 다른 여러 학자의 이론들이 들어 있다. 그러므로 명칭도 기능이론 외에 구조기능이론(structural functional theory), 합의이론(consensus theory), 질서모형(order model), 평형모형(equilibrium model) 등이 있으며, 명칭에 따라 이론의 강조점이 서로 다르다. 그러나 이들을 모두 포괄하여 기능이론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능이론은 콩뜨와 스펜서에 의하여 기초가..

교육사회학(6).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3-

이론적 동향 교육사회학 연구의 동향은 1970년대에 들어와서 또 한 차례 변화를 겪는다. 이 새로운 동향도 역시 일반사회학의 동향을 반영한 것이다. 당시까지의 교육사회학 연구를 '기능주의(functionalism)'라고 몰아붙이는 새로운 주장이 나타났다. 이른바 갈등이론의 등장이다. 교육사회학의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에 관하여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간단히 언급하는 ㄱ정도로 그치겠다. 갈등이론은 종래의 교육사회학 연구들이 사회의 한 하위체제로서의 교육, 특히 학교의 순기능에만 지나치게 치중해 왔으며 역기능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데에 대한 하나의 반성에서 출현하였다. 교육, 좁게는 학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태도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체로 낙관적이었다. 교육은 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