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전공서적/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23). 경쟁하는 이론들_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2-

나기log 2022. 6. 13. 10:08
반응형

 후설(Edmund Husserl)의 현상학을 사회과학 방법론으로 발전시킨 슈츠(Alfred Schutz)는 사회과학의 대상이 생활세계라고 선언하여 사회과학의 연구 대상을 인간의 구체적인 일상으로 끄집어 내렸다. 그는 사회과학의 목적은 인간이 자신이 살아가는 세계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최대한 분명히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행위자인 인간이 자신의 삶의 세계에서 그 삶에 부여하는 의미를 밝히는 것이 사회과학의 과업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재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 각자가 부여하는 의미가 중요하다는 것이다(차인석, 1980: 29-38). 일상생활에서 우리 자신의 행위와 타인의 행위가 가진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나 자신과 타인의 의미부여를 함께 고려함으로 이루어진다. 나도 주관적으로 이해하고 상대방도 주관적으로 이해하지만, 그것이 개개인의 사적인 이해로 끝나지 않는 것은, 우리가 '타협'과 '협상'을 통하여 서로의 이해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에 의하여 사회과학적 인식이 가능해진다(한국현상학회, 1984). 

 슈츠가 후설의 현상학을 사회과학에 응용한 방법론을 1960년대 초에 가핑클(Harold Garfinkel)이 민속연구방법(ethnomethodology)으로 발전시켰다. 그는 사회구성원, 즉 행위자들이 자신의 행동방식과 생각 및 규범을 형성한다고 전제하고, 그것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밝히려 하였다. 사회학 연구의 대상을 개인 차원으로 끌어내린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호만스(George Homans)가 교환이론(exchange theory)을, 블루머(Herbert Blumer)가 상징적 상호작용이론(symbolic interactionism)을 발표한다. 교환이론은 개인의 행위는 행위자 자신에 의한 '손익계산'에 근거하여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사회연구에 있어서 사회구조보다 행위자의 판단과 계싼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었다. 그리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은 미드(George Mead)의 사회심리학적 이론으로부터 발전시킨 것으로, 행위자가 부여하는 의미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타자의 반응과의 타협의 결과라고 주장함으로써, 개인 간의 상호작용, 그 가운데에도 언어와 같은 상징적 상호 작용에 대한 미시적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Alexander, 1987).

 사회학의 이러한 이론적 동향은 앞에서 지적한 기능주의이론과 갈등주의이론의 거시적이고 구조주의적인 관점에 의거한 사회이론의 결함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새로운 사회인식 방법으로 평가되었으며, 큰 호응을 받았다. 이들은 앞선 이론들이 거시적 관점을 내세우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미시적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전자가 사회구조를 중시하는 것과는 달리 후자는 행위자를 중시한다. 행위자의 의지, 창의성, 행동양식이 구조적 조건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후자의 입장에 선 연구들은 개인행위자를 관찰하고 그들과 대화하는 데 연구기간의 대부분을 할애한다. 그러나 이들의 한계는 행위자의 중요성을 너무 강조하는 나머지 사회구조의 영향력을 경시하는 데 있다. 개인의 자유의지가 그의 행위를 전적으로 결정하는 것처럼 생각한다면 그것 또한 순진한 생각이다. 구조적 개인의 욕망과 의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행위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 개인중심적 연구와 집단중심적 연구, 행위와 구조가 배타적인 양자택일로 흐르는 것을 지양하고, 통합의 길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이미 그러한 노력이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Alexander, 1987: 374-380)

 

   2) 교육에 대한 설명

 학교교육을 행위자의 차원에서 관찰하면, 학교는 교사와 교장, 학생이 상호작용하며 활동하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을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교장, 교사, 학생, 그리고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하여 세밀히 관찰하고, 동시에 그들의 이야기를 편견 없이 귀 기울여 들여보는 것이 중요하다. 하그리브스 (David Hargreaves)는 뒤르켐의 기능주의 교육이론에 충실한 사람이지만, 그의 초기 연구활동은 미드(George Mead)의 상호작용이론에 의지하여 학교의 내부세계를 기술하는 데에 열중했었다. 그는 '인간상호관계와 교육(Interpersonal Relations and Education, 1972)'에서 미드의 상호작용이론을 정리, 소개하고, 그 이론을 적용하여 학교를 구성하는 주요 행위자들인 교사와 학생을 기술하고, 그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모습과 내용을 그렸다. 피터 우즈는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학교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을 기술하였다(Woods, 1983). 그리고 윌리엄 타일러는 학교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위도 상호작용론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Tyler, 1988: 173-200 참조).

 학교 내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학교를 설명하려는 연구도 나타나고 있다(예컨대 Bidwell, 2000), 월러(Willard Waller)의 '학습지도의 사회학(The Sociology of Teaching)'의 맥을 이은, 학교라는 사회조직의 구성원들의 특성과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학교의 교육활동을 설명하는 접근방식이다. 교사들은 자신의 사명과 역할을 무엇으로 인식하고 있는가, 그러한 교사의 사명인식은 학생들의 역할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학생들은 무엇 때문에 교사의 요구를 수용하는가 등이 사회심리학적 학교연구자들이 던지는 질문의 일부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