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전공서적/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12). 경쟁하는 이론들_기능주의 교육이론-3-

나기log 2022. 6. 2. 10:32
반응형

 보편적 사회화와 특수 사회화는 어떤 관계인가? 뒤르켐은 양자가 이념상으로는 일치한다고 상정한다. 보편적 사회화가 특수 사회화를 지배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전체 사회와 부분 집단의 관계를 명백히 지배와 복종관계로 기술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규정하며 사회는 개인의 산술적 합계 이상의 특성을 가진 하나의 실체라고 설명하는데, 이 방식을 전체 사회와 부분 집단의 관계에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Durkheim, 1893: 40). 그는 보편적 사회화와 특수 사회화의 관계를 깊이 추구했다기보다는 전자가 정의상 보편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이념적으로 양자는 당연히 일치한다고 간주한 것이다.

 뒤르켐의 생각은 다시 정리하자면 이렇다. 사회가 점점 분화하기 때문에 다양한 직업교육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전문화된 교육이 증가하면 할수록 사회 전체의 동질성 유지를 위한 보편교육이 필수적이므로, 교육의 핵심 기능은 보편적 사회화이다. 오늘날의 분화된 사회에서 여러 가지 전문 교육이 없을 수는 없지만, 전문교육이 중지되는 한이 있어도 보편교육은 지속되어야 한다. 보편교육이야말로 사회의 존속에 불가결한 동질성을 지탱해 주는 지주이기 때문이다. 교육은 그 제도나 교육과정 모두가 한 사회가 근거하고 있고 또한 지향하고 있는 이념을 위하여 존재하는 것이다(김신일, 1988). 

 그런 의미에서 뒤르켐은 교육이 극히 중요한 사회이념(ideology)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날카롭게 인식하였다. 교육은 사회이념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으며 사회이념의 유지를 위하여 교육이 없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교육은 곧 이념적 활동인 것이다. 그런데 뒤르켐이 교육을 지적 열광을 불러일으키고, 새로운 이상을 탄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기존 사회이념의 전수보다는 새로운 이념의 창출에 더 큰 기대를 걸었다는 해석도 있다(김종엽, 1998: 344-346). 유사하게 그가 기존 질서의 유치조받 새로운 질서의 창조를 교육에 기대하였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백승학, 1998: 134-144). 그러나 뒤르켐은 한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서로 다른 집단 간의 갈등과 불일치를 과소평가하고, 모든 사회가 각기 항상 하나의 합의된 이념과 질서를 지향하는 것처럼 상정하였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다. 뿐만 아니라, 교육에 있어서도 여러 집단의 교육을 둘러싼 갈등의 가능성을 언급하지 않아 교육현상의 정확한 이해를 어렵게 만들었다. 어떤 지식과 가치를 가르치는가? 그것은 누가 결정하는가? 교육의 방향과 내용에 관한 국가·교육자·학습자 간의 갈등은 없는가? 교육은 누구의 이익에 봉사하는가? 이런 질문에 뒤르켐의 교육이론으로는 제대로 답변하기 어렵다(김신일, 1988).

 

   3) 파슨스의 교육 설명

 기능이론을 더욱 다듬어서 체계적 이론으로 발전시킨 사람은 현대 미국 사회학자의 한 사람인 파슨스(Talcott Parsons)이다.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그의 기본적 생각은 「사회체계로서의 학교학급」이라는 1959년 출판 논문에 잘 정리되어 있다. 파슨스는 뒤르켐과 마찬가지로 학교교육의 사회화 기능을 강조하는 동시에 산업사회에서의 인력배치(manpower allocation)이능을 부각시킴으로써 사회적 선발 기능도 강조하였다. 그는 사회화와 사회적 선발을 사회체계로서의 학교의 기본 기능으로 파악한 것이다(Morrow & Torres, 1995: 53-66). 사회화 기능에 관한 파슨스의 설명은 뒤르켐과 대동소이하다. 개인들에게 그들이 장차 성인이 되어 담당하게 될 역할 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정신적 자세와 자질을 기르는 것이 사회화라고 요약하였다. 학교는 이러한 정신적 자세와 자질을 길러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이 사회에서 담당하는 역할은 서로 다른 것이기 때문에 누가 어느 역할을 담당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 과학기술에 기초한 현대 산업사회에서는 각자의 능력과 소질에 적합한 역할을 맡기는 것이 인력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길이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다. 개인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남들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고 많은 경제적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지위는 누구냐가 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교가 개개인의 능력과 소질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학교의 사회적 선발 기능은 개인의 입장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지극히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