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전공서적/특수교육의 이해

특수교육(18). 정신지체아동 교육_③ 정신지체 정의의 변천-3-

나기log 2022. 5. 11. 17:25
반응형

(이전 글에 이어서)

 

   (4) 분류체계

 1992년 정의는 지능지수 점수에 근거한 정신지체의 분류나 기능적 능력의 직접적 측정보다는 다차원적 접근(multidimensional approach)에 기초하여 정신지체를 분류하였다. 이 정의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차원에서의 필요한 지원의 강도에 따라 정신지체를 분류하였다.

 

  차원Ⅰ : 지적 기능과 적응 기술

  차원Ⅱ : 심리적/정서적 고려

  차원Ⅲ : 신체적/건강의 고려

  차원Ⅳ : 환경의 고려

 

[표1-3] 지원 강도에 따른 분류와 정의 및 예

 - 간헐적(Intermittent)

"필요한 때에 기초한" 지원으로서, 간헐적 성격으로 특징되며, 개인은 항상 지원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인생에서 전환 시기 동안 단기간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예: 직업상실 혹은 심각한 의료적 위기 등), 간헐적 지원이 고강도 혹은 저강도로 지원된다.

 - 제한적(Limited)

 시간에 걸쳐 일관성을 지닌 그러나 간헐적이 아닌 시간제한적인 것으로 특징된다. 다소 적은 수의 인원과 적은 비용이 요구된다. (예: 시간제한적 고용훈련, 학교에서 성인기로의 전환적 지원 제공 등)

 - 확장적(Extensive)

 적어도 몇몇 환경(직장 혹은 가정)에서 정규적으로 요구되는 지원으로 특징되며 시간 제한적은 아니다.

 -전반적(Pervasive)

 항구성과 고강도의 지원으로, 전반적 환경들에 걸쳐 제공된다. 잠재적으로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성격의 것으로 특징된다. 전반적 지원이란 확장적 혹은 시간제한적 지원의 경우에서보다는 더 많은 수의 요원과 더 개입적일 수 있는 지원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다차원적 접근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 대해 정확하게 묘사해 줄 뿐만 아니라 현재의 성장, 환경적 변화, 교육적 활동, 치료적 중재에 대한 개인적 반응의 평가를 가능하게 해 준다. 다차원적 접근의 의도는 다음과 같다.

 ① 정신지체의 개념화를 확장시킨다.

 ② 장애의 수준을 정하는데 지능지수에 대한 의존을 피한다.

 ③ 개인의 욕구를 지원의 적합한 수준과 연관시킨다.

 

  개인의 관점에서 볼 때, 다차원적 접근은 정신지체 아동에 대한 종합적 묘사에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① 정신지체의 존재 (다른 장애 조건이 아님) 

 ② 한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건강, 신체적 강점과 약점의 고려

 ③ 한 개인의 현재 주저, 학교/직업, 지역사회 환경들에게서 질적 요소를 촉진시키거나 제한시키는 것에 대한 고려 

 ④ 한 개인의 독립성/상호의존성, 생산성, 지역사회 통합을 촉진시키는 최적의 환경과 지원의 체계

 ⑤ 위의 요소들에 기초하여 필요로 되는 지원의 윤곽

 

 

   (5) 1992년 정의와 분류 체계의 주요 변화

 1992년 미국정신지체협회의 정의는 1983년 정의(Grossman)와 비교할 때 여러 주요 변화가 있었다(Luckasson 등, 2002). 첫째, 적응 행동이라는 전체적인 개념이 적응행동 기술로 대체되었고, 적응행동 기술을 개인이 상황의 요구에 적응하고자 행동을 변화시켜 가는 방식과 주어진 상황이나 사회적 맥락과 조화를 이루고 작용하는 방식을 반영하는 능력의 배열로 정의하였다. 둘째, 적응 행동의 전반적 손상을 사정하는 것은 10가지 광범위한 적응 행동 기술 영역 내에서 강점과 한계를 사정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발달적으로 적절한 최소 2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한계를 지닌 것으로 진단되어야 한다. 셋째, 부적응 행동의 개념은 고려되지 않았다(p43). 넷째, 지능지수에 근거하여 정신지체 아동을 하위 집단(경도, 중등도, 중도, 최중도)으로 분류하는 대신에 전문가가 제공해야 할 지원의 특성을 기술하도록 장려하였다(p34). 다섯째, 정의를 적용하는데 네 가지 가정을 제시하였다. 첫째, 타당한 사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신지체의 타당한 사정은 문화적, 언어적 다양성뿐만 아니라 의사소통과 행동 요소에서의 차이점을 고려한다. 둘째, 전형적인 동년배 맥락 안에서 적응 기술을 사정해야 한다. 셋째, 한계는 강점과 함께 공존한다. 특정한 적응 행동에서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 제한성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개인적 능력에서의 강점과 함께 병존한다는 것으 인식해야 한다. 넷째, 지속적 기간 동안의 적절한 지원은 삶의 기능을 향상시킨다(pp.6-7). 정신지체 아동에게 장기간의 적합한 지원을 제공하면 생활 기능(life functioning)은 일반적으로 향상될 것이다.

 여섯째, 진단에 이어 지어 프로파일을 계획할 때는 지적 기능과 적응 기술, 심리적 및 정서적 고려, 신체적/병인적/건강상의 고려, 환경의 차원 이외에도 인간 차원에 관한 세 가지 추가적 차원에서의 강점과 요구에 대한 검토를 포함하였다. 

 일곱째, 진단 과정에서 진단 대상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이 다양한 일상적 생태에서 비형식적으로 관찰한 결과에 근거하여 지원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등 임상적 판단의 비중이 증가하였다(p.45).

 여덟째, 적용을 위한 진단, 분류, 지원의 세 단계를 제시하였다.

 

 1992년 정의가 과거 정의의 지능지수의 기준 상한선을 변화시켰는가에 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MacMillan 등, 1993, 1995 : Reiss, 1994 : Schalock 등, 1994). Luckasson 등(1992)은 지능지수 70-75 미만으로 기준점을 설정하고 (p.5) 지능의 유의미한 한계를 진단의 필요조건으로 포함시킴으로써 1983년 정의(Grossman)와 유사함을 보였다. Grossman(1983)은 유의미한 평균 이하의 지능을 표준화된 지능검사 측정치를 기준으로 70 미만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러한 상한계는 지침선으로서 사용된 지능검사의 신뢰도에 따라 75 이상까지 상향 조정될 수도 있다"고 부연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