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 이어서)
3) 1992년의 정의
1992년 미국정신지체협회의 제9판 정의의 가장 커다란 변화는 기능 수준에 따른 분류 체제의 채택이었다. 그동안 미국정신지체협회는 미국정신의학협회(APA)와 세계 보건기구(WHO)와 동일한 방식인 지능지수 점수에 근거한 분류 체제를 사용했었다.
(1) 지능지수 및 능력 중신 체계
정신박약연구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Feebleminded)에 의해 제시되었던 지능지수 중심 분류 체계에서는 저능(moron, IQ 75-50), 치우(imbecile, IQ 50-25), 백치(idiot, IQ 25 이하)라는 분류 용어를 사용하였다. 지능지수에 근거한 분류 체계는 개인의 지능검사 점수와 장애 수준을 연결 짓는다. 기대되는 성과에 대한 가정이 설정되고 이에 따라 중재 계획이 수립된다. 하지만, 이러한 지능지수 중심의 분류 체계는 중재에 대한 정보를 거의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종종 잘못된 중재를 야기하곤 했다.
(2) 1992년 정의
1992년 정의는 정신지체 현상을 단지 개인에 의해 표출되는 하나의 절대적인 특성으로 보았던 관점에서 제한된 지적 능력을 가진 사람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표출된 것으로 보게 되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였다. 1992년 정의는 능력(capability), 환경(environment), 기능성(functioning)간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정의는 적응 행동의 개념에 있어 진일보한 시도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발전적이다. 그동안 일반적인 적응행동으로 묘사되던 영역을 특정 기술 영역으로 구체화하여 적응기술로 묘사하였다.
: 정신지체는 현재의 기능상에 실질적인 제한성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정신지체는 지적 기능이 평균 이하로 유의하게 낮고, 동시에 다음과 같은 적응 기술 가운데 두 가지 이상에서 곤련된 제한성이 나타나는 경우로서, 18세 이전에 나타난다. 적응 기술 영역으로는 의사소통, 자기 관리, 가정생활, 사회적 기술, 지역 사회 이용, 자기 주도, 건강과 안전, 기능 교화, 여가, 일 등 10가지이다.
① 정신지체 아동을 현재의 기능상에 제한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정신지체 아동은 개념적, 실제적 사회적 지능의 실질적인 제한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고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상의 제한은 지적 기능과 적응 기술상의 제한으로 설명된다.
② 평균이하로 유의하게 낮은 지적 기능을 갖고 있다.
정신지체 아동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지능지수가 70-75 혹은 그 이하의 점수를 받은 경우를 말한다. 정신지체를 사정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써 전문가 팀들은 검사 점수와 기타 관련 정보를 검토하고 평가한다.
③ 10가지의 적응 기술 가운데 두 가지 이상에서 관련된 제한성을 지닌다.
생활의 중요한 영역에서 제한된 적응 기술을 보여야 정신지체라고 한 것은 정신지체의 정의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첫째, 적응 기술의 제한성이 지적인 제한성과 공존해야 한다. 즉 지적 기능의 제한성만으로는 정신지체를 사정하는 근거로서 부족하다. 둘째, 정신지체를 사정하는데 잘못 판단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2가지 이상의 영역에서 적응 기술이 제한적이어야 한다. 셋째, 삶을 성공적으로 영위하는데 필수적인 기술은 정신지체를 확인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려해야 한다.
④ 정신지체는 발달기에 나타난다.
정신지체가 일반적으로 성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고 생각되는 연령, 즉 18세가 되기 이전에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신지체는 가장 많은 발달이 일어날 것이라고 기대되는 시기인 아동기의 장애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기 이후에 뇌 손상을 입어 지적 기능과 적응 기술에서 제한성을 보이는 사람은 정신지체로 간주하지 않는다.
종전의 정의들이 지능과 적응 행동이 진단에서 같은 비중을 가졌다고 명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셀제로는 지능지수가 전형적으로 우세했었다. 새로운 정의에서 적응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는 것은 지능지수와 적응 기술을 균형 있게 고려하도록 조장하기 위한 시도이다.
3) 1992년 정신지체 정의의 일반적 구조
정신지체는 지역 사회 안에서 결손된 기능의 한 특정한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처음에는 아동기에 나타나며, 지적 능력에서의 제한성은 적응 기술에서의 연관된 제한성과 공존한다 어떤 정신지체 아동의 경우에도, 기능성의 이러한 상태의 묘사는 그 개인의 능력에 대한 지식과 그 개인의 개인적 사회적 환경의 구조와 기대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정신지체 정의에서의 주요 요소는 능력 환경, 기능성이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1-1]과 같다.
[그림1-1]은 하나의 기능적 모델을 강조하기 위해 삼각형의 기초를 기능성을 구조화한 것이다. 능력은 삼각형의 왼쪽에 나타나는데, 정신지체에서 기능성은 지능과 적응 기술에서의 제한성에 특별히 관련된다. 이것은 정신지체의 기능적 제한성은 신체적 혹은 정서적 제한성과 같은 다른 원인들에 관련되어 제한된 기능성을 보이는 것과 구별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에 관한 관점을 삼각형의 한쪽에만 위치하게 한 것은 정신지체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필요는 하지만 충분하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삼각형의 오른쪽에는 정신지체 아동이 살고, 배우고, 놀고, 일하고, 사회화되고,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나타낸다. 이 삼각형의 등변성은 환경의 묘사가 정신지체 개념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을 말한다. 능력과 환경의 이 두 구성 요소를 하나의 삼각 구조에 둠으로써 이 모델은 이것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정신지체 개념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이 모델에서 지원 욕구는 개인이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반영하고, 지원의 현존 또는 부재는 상호적으로 기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지원은 정신지체 개념의 실제 부분이 아니며 오히려 정신지체에 대한 반응이어서 삼각 구조 안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교육전공서적 > 특수교육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수교육(18). 정신지체아동 교육_③ 정신지체 정의의 변천-3- (0) | 2022.05.11 |
---|---|
특수교육(16). 정신지체아동 교육_① 정신지체 정의의 변천-1- (0) | 2022.05.09 |
특수교육(15). 청각장애아동교육_⑤ 청각장애아동교육의 과제 및 전망 (0) | 202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