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전공서적/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24). 경쟁하는 이론들_교육에 대한 해석적 접근-3-

나기log 2022. 6. 14. 08:53
반응형

 교사

 하그리브스(Hargreaves, 1972)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가지고 학급상황을 규정하는 쪽은 교사이므로, 교사가 상황을 어떻게 규정하는가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교사는 모두가 동질적인 존재가 아니어서 여러 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교사의 형은 그들 스스로에 대한 자아개념에 따라 '맹수조련사(liontamers)형', '연예인(entertainers)형', '낭만가(romantics)'형으로 나눌 수 있다. '맹수조련사'형은 명칭으로 짐작할 수 있다시피 거칠고 아무 것도 모르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가르치고, 윤리적 행동을 훈련시켜 길이 잘 든 모범생으로 만드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는 교사들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담당교광 있어서 언제나 충분한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학생을 다룰 줄 알아야 하며, 학생은 교사의 지시에 충실히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연예인'형은 학생들이 학습에 흥미를 느끼도록 교수자료를 풍부하게 만들고 시청각 기법을 활용하는 등, 즐겁게 배우도록 해 주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이 교사들은 학생들을 '친구처럼' 대하면서 격의 없는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낭만가'형은, 학생은 누구나 학습하기를 좋아하므로 학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수업내용도 교사가 독단적으로 정하지 않고 학생과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이 교사들은 기본적으로 학생들의 학습능력과 학습의지를 신뢰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그리브스는 교사들을 자아개념에 따라 세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교사들은 교과수업과 학생지도라고 하는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두 역할을 해석하고 수행하는 방식이 제각각 다르므로, 교사의 유형은 실제에 있어서 대단히 다양할 수 밖에 없다고 본다. 그렇지만 가르칠 교과내용과 지도해야 할 학생들은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제약 조건이 된다. 가르칠 교과내용은 상당한 정도로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교사에 의한 상황규정이란 실제로는 선택의 폭이 그리 넓지 않은 것이다. 학생과 관련된 역할도 마찬가지이다. 교사의 역할은 대상 학생과 무관하게 결정될 수 없다. 학생이 어떤 사람들이냐에 따라 교사의 역할은 달라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가 학생들에 관하여 가지고 있는 지식은 그의 역할 인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은 상호작용의 관계에 있으므로 교사의 학생에 대한 역할은 학생들의 행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의 연구는 하그리브스의 주장과 일치되는 결과를 보여준다(김영찬 외, 1990). 한 인문계 고등학교에 대한 문화기술연구에 의하면 교장과 교사의 주된 역할은 '학력신장'과 '생활기강확립'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전자는 좋은 대학에 졸업생을 많이 입학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후자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예절을 잘 지키고, 복장을 단정히 하고, 말써 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역할은 동등한 것이 아니어서, 실제로는 '학력신장'이 더 중시된다. 학부모들이 대학입시 준비교육을 강력히 요구하고, 교장과 교사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입시준비교육 성공여부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사의 역할은 '학력신장'을 중심으로 규정된다.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을 어떻게 다루느냐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고, 학생들도 이 점에서 마찬가지로 생각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수업내용의 선정과 교수방법 선택에 있어서 입시준비에 가장 적합한 것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춘다(이인효, 1994: 243-272 참조).

 어떻게 하는 것이 학생들을 잘 다루는 것인가? 교사들은 "교사가 학생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을 교사 속으로 끌어들여야 한다"고 말한다. 즉, 교사는 학생들의 의견에 따라가서는 안 되고,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생들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하그리브스의 교사유형 가눙데 '맹수조련사'형과 같은 것이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교사의 그러한 역할을 형성하는 데는 학생들도 일조한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한 가지 역설적인 점은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를 교사가 주도해야 한다'는 신념을 교사에게 심어주는 사람은 바로 학생이라는 점이다. 초임 교사들은 '아이들이 자기네들에게 민주적으로 대해 주려는 선생님을 우습게 본다'는데 대해 비애를 느낀다고 실토한다(김영찬 외, 1990:109).

 

 결국 학생은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교실수업 상황에 있어서 적극적 행위자인 것이다. 교사의 상대자인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이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그들이 수업을 통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교사의 역할은 무엇이어야 한다고 믿고 있는지 등은 수업상황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생에 관한 이해 없이는 교육상황을 이해할 수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