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이론 2

교육사회학(10). 경쟁하는 이론들_기능주의 교육이론-1-

1) 기능주의 기능주의(functionalism) 또는 기능이론은 콩뜨(Auguste Comte, 1798~1857)와 스펜서(Herbert Spencer, 1820~1903)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한 마디로 기능이론이라고 부르지만 그 속에는 조금씩 다른 여러 학자의 이론들이 들어 있다. 그러므로 명칭도 기능이론 외에 구조기능이론(structural functional theory), 합의이론(consensus theory), 질서모형(order model), 평형모형(equilibrium model) 등이 있으며, 명칭에 따라 이론의 강조점이 서로 다르다. 그러나 이들을 모두 포괄하여 기능이론으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능이론은 콩뜨와 스펜서에 의하여 기초가..

교육사회학(6). 교육사회학의 발달_미국과 유럽에서의 발전-3-

이론적 동향 교육사회학 연구의 동향은 1970년대에 들어와서 또 한 차례 변화를 겪는다. 이 새로운 동향도 역시 일반사회학의 동향을 반영한 것이다. 당시까지의 교육사회학 연구를 '기능주의(functionalism)'라고 몰아붙이는 새로운 주장이 나타났다. 이른바 갈등이론의 등장이다. 교육사회학의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에 관하여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간단히 언급하는 ㄱ정도로 그치겠다. 갈등이론은 종래의 교육사회학 연구들이 사회의 한 하위체제로서의 교육, 특히 학교의 순기능에만 지나치게 치중해 왔으며 역기능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데에 대한 하나의 반성에서 출현하였다. 교육, 좁게는 학교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태도는 1960년대까지만 해도 대체로 낙관적이었다. 교육은 자라..